✋🏻 잠깐! 나는 완벽주의와는 상관없으니 오늘 칼럼은 패스 해야겠다고 생각하신 분이 있을까요? (에디터는 웁니다) 제 주변을 살펴보면 완벽주의자들이 참 많은데... 대부분이 에이 내가 무슨💦 이라며 스스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참 많더라고요.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내지 못하면 실패로 받아들이거나, 작은 디테일까지 다 챙겨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 혹은 누가 봐도 고성과자인데 자신의 높은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하면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 이들을 우리는 완벽주의자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업무 추진력이 부족하거나, 의사결정을 자꾸 미뤄 구성원들을 힘들게 하는 분들, 무리하게 업무를 떠안는 분들도 완벽주의 때문에 이런 모습을 보인다고 하네요. 왜 그런 걸까요? 오늘 칼럼을 통해 최근 나를 힘들게 했던 원인이 혹시 완벽주의 때문은 아니었는지 살펴보고, 완벽주의의 덫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위에서는 구성원 관리를 요구하고, 아래에서는 간섭한다고 불평하고...😱 상사와 후배 사이에 끼여 오늘도 괴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중간관리자들. 이들이 중간다리 역할을 제대로 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HSG 미들파워 리더십으로 중간관리자에게 힘을 실어주세요!